yunki Kim Blog

「Do What You Love」

spring batch JobRepository

스프링 배치는 배치 수행과 관련된 수치 데이터와 잡의 상태를 JobRepository를 이용해 유지 관리한다. 그리고 잡이 재시작 또는 아이템 재처리 시 어떤 동작을 수행할지 이 정보를 사용해 결정한다. JobRepository는 배치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소이다. 이 저장소는 인메모리 저장소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제공된다....

DB 데이터 저장 장치 구조

파일 구성 데이터 베이스는 기본적으로 운영체제가 관리하는 여러 파일로서 존재하게 된다. 이 파일들은 디스크에 저장된다. 파일은 일련의 레코드로서 논리적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파일은 블록이라는 고정길이 저장 단위로 논리적으로 분할된다. 각 블록의 기본 크기는 4KB ~ 8KB이다. 하나의 블록은 다시 여러 개의 레코드를 저장한다. 단일 블록은 각 레코드...

spring batch 개념 소개

배치 애플리케이션이란? 배치 애플리케이션이란 사람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에러 발생 시 사람이 판단해 복구할 수 없기 때문에 배치 애플리케이션은 신뢰성 있고 견고해야 합니다. 또 한, 처리할 데이터가 많을 처리 완료까지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만약 배치 애플리케이션을 제한된 시간 내에 끝내...

chapter 11-3. 디스크 파일 할당

디스크상에서 파일 시스템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연속 할당과 불연속 할당 파일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메인 메모리를 페이징으로 관리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을 사용합니다. 전체 디스크 공간을 블록이라는 균일한 공간으로 나누고 주소를 붙여서 관리합니다. 블록 하나 크기는 1~8KB입니다. 파일 시스템은 파일의 이름과 해당 파일이 시작하는 블록 주소...

chapter 11-2. 디렉터리의 구조.

디렉터리의 개념 디렉터리는 관련 있는 파일을 하나로 모아놓은 곳입니다. 하나의 디렉터리 내에는 한 개 이상의 파일과 한 개 이상의 자식 디렉터리(sub directory)를 가질 수 있습니다. 디렉터리는 여러 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최상위 층의 디렉터리를 root directory라 부릅니다. 디렉터리 파일 디렉터리도 파일입니다. 일반 파일에는 데이터가...

chapter 11-1. 파일과 파일 시스템.

파일 시스템 개요 컴퓨터 시스템에서 파일을 보관하기 위해 2차 메모리를 사용합니다. 운영체제는 파일 훼손 등을 막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파일에 대해 접근하는 것을 막습니다. 그리고 파일을 보관하고 관리하는 파일 관리자를 두어 저장 장치를 관리하는 데 이를 파일시스템이라 합니다. 파일 관리자는 파일 테이블을 사용해 파일에 대한 CRUD를 수행합니다. 또...

CPU pipelining

파이프라인 CPU가 instruction을 실행할 때 한 번에 하나의 instruction만 실행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instruction에 대한 결과를 내놓기 위한 로직들을 한 번에 수행하고 결과를 출력 레지스터에 저장한다면 instruction 3개는 시간 흐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수행될 것입니다. 하나의 instruction을 시작부터 끝까...

mutex lock vs semaphore

hardware instruction 등 하드웨어 레벨에서 critical-section problem을 해결하는 방식은 일반 애플리케이션 개발자가 직접 사용하지 못합니다. 대신, OS가 구현해 놓은 툴을 사용하고 그중 대표적인 것이 mutex와 semaphore입니다. Mutex(MUTual EXclusion) Lock mutex lock을 사용하...

조합 논리 회로

Multiplexer (Mux) 복수의 정보가 있고, 그중 적용할 것을 선택해야 할 때 사용하는 회로입니다. 멀티플렉서에는 2^n 개의 입력, n개의 선택선과 하나의 출력을 가집니다. 2:1 멀티플렉서의 경우다음과 같이 표시할 수 있고 진리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위 진리표를 통해 카르노맵을 다음과 같이 그릴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그린 2:1 ...

AI와 공생하기

몇 달 전부터 GPT라는 단어가 갑자기 온갖 미디어에 도배되기 시작했습니다. 사람처럼 대화가 되는 AI가 나왔다면서, AI가 전문직 시험에 합격했다면서 많은 사람들이 직업을 잃을 것이라는 주장도 나왔죠. 개학을 하고 들어간 수업에서도 GPT 얘기는 계속되었습니다. 어떤 교수님은 “수업 자료를 GPT를 통해 만들었는 데 3일 걸릴 일을 두 시간 만에 해...